맨위로가기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베이징 과학기술대학 체육관에서 열렸으며, 남자 7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총 14체급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남자 60kg급에서는 최민호가 금메달을, 여자 78kg급에서는 양 슈리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각 체급별 메달리스트가 결정되었고, 일본이 금메달 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예선은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대륙별 선수권 대회 등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각 체급별로 최대 1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60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60kg급 경기에서 대한민국 최민호가 금메달을, 오스트리아의 루드비히 파이셔가 은메달을, 리쇼드 소비로프와 루벤 호우케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70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70kg급은 우에노 마사에의 금메달, 아나이시 에르난데스의 은메달, 룬디크 크리스타와 에디스 보시의 동메달 획득과 박가연 선수의 출전으로 이루어졌다.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종목유도
주관 기관IOC
연도2008
대회 종류하계 올림픽
이미지
개최지베이징, 중국
경기장베이징 과학기술대학 체육관
기간2008년 8월 9일 ~ 8월 15일
참가 선수386
참가 국가92
세부 종목
남자60kg
66kg
73kg
81kg
90kg
100kg
+100kg
여자48kg
52kg
57kg
63kg
70kg
78kg
+78kg
관련 정보
관련 문서참가 선수 명단
참가 자격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베이징의 과학기술체육관에서 열렸다.

도시경기장비고
베이징과학기술체육관전 경기


3. 세부 종목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남자 7체급, 여자 7체급으로 총 14체급이 진행되었다. 남녀 모두 7체급으로 진행된 것은 이전 대회와 같았다. 이번 대회에서는 일본, 러시아, 프랑스 등의 기존 강호국 외에, 아랍 국가・중앙아시아아프리카 선수들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종종 국제 유도는 포인트 획득에 치중하여 한판을 노리는 본래의 유도와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일본에서 있었지만, 실제로는 상위 선수들의 한판승이 증가하고, 각국의 민족 격투기 기술을 응용한 호쾌한 던지기 기술도 많이 보여, 유도의 새로운 발전과 진화를 엿볼 수 있는 대회가 되었다.

3. 1. 남자


  • 60kg급
  • 66kg급
  • 73kg급
  • 81kg급
  • 90kg급
  • 100kg급
  • 100kg 이상급

3. 2. 여자


  • 48kg급
  • 52kg급
  • 57kg급
  • 63kg급
  • 70kg급
  • 78kg급
  • 78kg 이상급

4. 메달리스트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 60kg급최민호 (대한민국)루트비히 파이셔 (오스트리아)리쇼드 소비로프 (우즈베키스탄), 뤼번 하우커스 (네덜란드)
남자 66kg급우치시바 마사토 (일본)뱅자맹 다르블레 (프랑스)박철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요르다니스 아렌시비아 (쿠바)
남자 73kg급엘누르 맘마들리 (아제르바이잔)왕기춘 (대한민국)라술 보키예프 (타지키스탄), 레안드루 길례이루 (브라질)
남자 81kg급올레 비쇼프 (독일)김재범 (대한민국)치아구 카밀루 (브라질), 로만 혼튜크 (우크라이나)
남자 90kg급이라클리 치레키제 (조지아)아마르 베니클레프 (알제리)히샴 미스바 (이집트), 세르게이 아슈반덴 (스위스)
남자 100kg급나이당깅 투브신바야르 (몽골)아스하트 짓케예프 (카자흐스탄)뫼블루트 미랠리예프 (아제르바이잔), 헹크 흐롤 (네덜란드)
남자 100kg이상급이시이 사토시 (일본)아브둘로 탄그리예프 (우즈베키스탄)테디 리네르 (프랑스), 오스카르 브라이손 (쿠바)
colspan="5" |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여자 48kg급알리나 알렉산드라 두미트루 (루마니아)야네트 베르모이 (쿠바)파울라 파레토 (아르헨티나), 다니 료코 (일본)
여자 52kg급셴둥메이 (중화인민공화국)안금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소라야 하다드 (알제리), 나카무라 미사토 (일본)
여자 57kg급줄리아 퀸타발레 (이탈리아)데보라 흐라벤스테인 (네덜란드)쉬옌 (중화인민공화국), 케틀레잉 쿠아드루스 (브라질)
여자 63kg급다니모토 아유미 (일본)뤼시 데코스 (프랑스)엘리사벗 빌레보르처 (네덜란드), 원옥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70kg급우에노 마사에 (일본)아나이시 에르난데스 (쿠바)론다 라우시 (미국), 에딧 보스 (네덜란드)
여자 78kg급양슈리 (중화인민공화국)얄레니스 카스티요 (쿠바)정경미 (대한민국), 스테파니 포사마이 (프랑스)
여자 78kg이상급퉁원 (중화인민공화국)쓰카다 마키 (일본)이달리스 오르티스 (쿠바), 루치야 폴라우데르 (슬로베니아)


4. 1. 남자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부 경기에서는 총 7개의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를 획득하며 선전했다.


4. 1. 1. 남자 60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60kg급 경기에는 총 3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대한민국의 최민호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오스트리아의 루트비히 파이셔 선수가 은메달, 우즈베키스탄의 리쇼드 소비로프 선수와 네덜란드의 뤼번 하우커스 선수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순위선수국가
최민호
루트비히 파이셔
리쇼드 소비로프
뤼번 하우커스


4. 1. 2. 남자 66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66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0일 베이징 과학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렸다. 일본의 우치시바 마사토가 금메달, 프랑스의 뱅자맹 다르블레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박철민과 쿠바의 요르다니스 아렌시비아는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4. 1. 3. 남자 73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73kg급 경기에서는 엘누르 맘마들리 (아제르바이잔)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왕기춘 (대한민국)은 은메달을 획득했고, 라술 보키예프 (타지키스탄)와 레안드루 길례이루 (브라질)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순위선수국가
엘누르 맘마들리
왕기춘
라술 보키예프
레안드루 길례이루


4. 1. 4. 남자 81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81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2일에 열렸다. 독일의 올레 비쇼프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의 김재범은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브라질의 치아구 카밀루와 우크라이나의 로만 혼튜크에게 돌아갔다.

4. 1. 5. 남자 90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90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3일에 열렸다. 조지아의 이라클리 치레키제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알제리의 아마르 베니클레프 선수가 은메달, 이집트의 히샴 미스바 선수와 스위스의 세르게이 아슈반덴 선수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4. 1. 6. 남자 100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100kg급 경기는 나이당깅 투브신바야르(몽골)가 금메달, 아스하트 짓케예프(카자흐스탄)가 은메달, 뫼블루트 미랠리예프(아제르바이잔)와 헹크 흐롤(네덜란드)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4. 1. 7. 남자 100kg 이상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남자 100kg 이상급 경기에서는 일본의 이시이 사토시가 금메달, 우즈베키스탄의 아브둘로 탄그리예프가 은메달을 차지하였다. 동메달은 프랑스의 테디 리네르와 쿠바의 오스카르 브라이손에게 돌아갔다.

4. 2. 여자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부 경기는 48kg급, 52kg급, 57kg급, 63kg급, 70kg급, 78kg급, 78kg 이상급의 7개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체급별 메달 획득 현황은 다음과 같다.


4. 2. 1. 여자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9일에 열렸다. 루마니아의 알리나 알렉산드라 두미트루가 금메달, 쿠바의 야네트 베르모이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아르헨티나의 파울라 파레토와 일본의 다니 료코에게 돌아갔다.

4. 2. 2. 여자 52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52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0일에 베이징 과학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렸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셴둥메이가 결승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안금애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알제리소라야 하다드일본나카무라 미사토는 각각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4. 2. 3. 여자 57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57kg급에서는 이탈리아줄리아 퀸타발레가 금메달, 네덜란드데보라 흐라벤스테인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중국쉬옌브라질케틀레잉 쿠아드루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4. 2. 4. 여자 63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63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2일에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열렸다. 일본의 다니모토 아유미가 금메달, 프랑스의 뤼시 데코스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네덜란드의 엘리사벗 빌레보르처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옥임에게 돌아갔다.

4. 2. 5. 여자 70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70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3일에 베이징 과학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렸다. 일본의 우에노 마사에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쿠바의 아나이시 에르난데스 선수가 은메달, 미국의 론다 라우시 선수와 네덜란드의 에딧 보스 선수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4. 2. 6. 여자 7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78kg급 경기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양슈리가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쿠바의 얄레니스 카스티요가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한민국의 정경미와 프랑스의 스테파니 포사마이는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순위선수국가
양슈리杨秀丽|양슈리중국어
얄레니스 카스티요Yalenis Castillo|얄레니스 카스티요es
정경미정경미|정경미한국어
스테파니 포사마이Stéphanie Possamaï|스테파니 포사마이프랑스어


4. 2. 7. 여자 78kg 이상급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여자 78kg 이상급 경기에서 중국퉁원이 금메달, 일본쓰카다 마키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메달은 쿠바이달리스 오르티스슬로베니아루치야 폴라우데르에게 돌아갔다.

5. 메달 집계

순위국가/지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4127
23014
31214
41012
51001
1001
1001
1001
1001
100336
110224
120145
130123
140112
0112
160101
0101
180033
190011
0011
0011
0011
0011
0011
0011
합계14142856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남녀 모두 7체급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에서는 일본, 러시아, 프랑스 등의 기존 강호국 외에, 아랍 국가,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선수들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6. 예선

200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예선은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대륙별 선수권 대회 및 예선 토너먼트 등을 통해 진행되었다. 총 366명의 선수가 직접 출전 자격을 얻었으며, 이 외에 삼자 위원회에서 초청하는 20명의 선수(성별 및 체급 미정)가 추가되어 총 386명의 선수(남자 217명, 여자 147명, 성별 미정 22명)가 출전할 예정이었다. 각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각 체급별로 최대 1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종목/연맹날짜장소남자여자합계
세계 선수권 대회2007년 9월 13일–16일 리우데자네이루6684
아프리카 유도 연맹2006년 5월 – 2008년 5월3235
아시아 유도 연맹2006년 11월 – 2008년 4월5358
유럽 유도 연맹2007년 4월 – 2008년 4월9598
오세아니아 유도 연맹2007년 9월 – 2008년 3월1114
범아메리카 유도 연맹2006년 5월 – 2008년 5월6363
개최국 (중국)1114
합계colspan=2 |3121366



대륙별 예선 출전 자격은 해당 대륙의 주요 대회(대륙 선수권 대회, 예선 토너먼트)를 기반으로 한 랭킹 시스템을 통해 배분되었다. 더 중요하고 올림픽에 가까운 대회가 더 많은 점수를 받았다. 연맹의 출전 자격 확정 마감일은 2008년 5월 21일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